[AWS] AWS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: 고가용성 웹 서비스 환경 설계기
·
Public Cloud
개요이번 팀 프로젝트에서는 AWS의 주요 네트워크 및 컴퓨팅 서비스를 활용하여, 고가용성(High Availability)과 보안성(Security)을 모두 고려한 웹 서비스 인프라를 직접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. 팀장 역할을 수행하였고 5명의 팀원과 함께 구축을 위한 설계와 구축을 진행하고 기술도입 타당성을 소통하여 협력하였다 단순한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넘어, 실제 운영 환경을 기준으로 한 네트워크 아키텍처 구성에 중점을 두었다. 설계 초기부터 세 개의 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을 활용하여 퍼블릭 서브넷과 프라이빗 서브넷을 분리하였고, 이를 기반으로 VPC, 라우팅 테이블, 인터넷 게이트웨이, NAT 게이트웨이를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신뢰성과 확장성을 갖춘 네트워크 인..
[AWS S3] s3fs-fuse 오픈소스 분석
·
Public Cloud
이번 포스팅은 오픈소스의 S3FS-FUSE의 코드 분석에 관한 글이다. 이번 팀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해선, 오픈 소스의 코드를 다 분석해야하지만 S3fs-Fuse의 소스는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해야한다. C++ 소스코드를 보고 함수의 기능을 살펴보며 구동하는 흐름을 학습할 것이다. 아래는 이전 포스팅이다 https://boramchan-corgi.tistory.com/25 [AWS] S3FS-FUSE(Foreign File System in User Space) 란? 대학교 수업 '오픈소스 소프트웨어'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다. 우리 팀은 오픈소스인 s3fs-FUSE를 탐구하고 I/O 속도 개선을 목표로 주제를 선정하였다. 인프라에 관심있는 나에게 boramchan-corgi.tistor..
[AWS] S3FS-FUSE(Foreign File System in User Space) 란?
·
Public Cloud
대학교 수업 '오픈소스 소프트웨어'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다. 우리 팀은 오픈소스인 s3fs-FUSE를 탐구하고 I/O 속도 개선을 목표로 주제를 선정하였다. 인프라에 관심있는 나에게 흥미있는 주제였고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기록하려고 한다. s3fs-FUSE는 Amazon S3 (Simple Storage Service)에 있는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할 수 있게 해주는 FUSE(Foreign File System in User Space) 기반의 도구다. S3는 분산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로, 대규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s3fs-FUSE를 사용하면 S3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 명령어로 다룰 수 있어 편리하다. 이를 사용하면 S3..